본문 바로가기
TIP

⚠️ '검찰/법원인데요' 전화 받으셨나요? 법원등기 사칭 보이스피싱 예방 총정리

by 日常茶飯事 2025. 4. 18.
반응형

AI 이미지

안녕하세요! 여러분의 눈과 귀가 되어드리는 이슈 탐정🕵️‍♂️ 입니다.

 

"고객님 명의로 된 등기 우편물이 반송되었습니다.", "귀하의 사건 관련하여 법원에서 출석 요구서가 발송되었습니다." 와 같은 전화를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? 최근 법원, 검찰청, 등기소 등 국가기관을 사칭하며 불안감을 조성한 뒤 돈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! 자칫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법원/등기 사칭 보이스피싱, 그 수법과 예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
 

😨 이런 전화, 100% 보이스피싱! (사기 수법)

사기범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레퍼토리로 접근합니다.

  1. 기관 사칭: "서울중앙지방법원입니다.", "OO 검찰청 OOO 검사입니다.", "등기소 직원입니다." 라며 전화를 겁니다. (발신 번호는 조작될 수 있어 믿으면 안 됩니다!)
  2. 위기 상황 연출: "본인 명의의 등기우편물(소환장, 고지서 등)이 전달되지 않고 있다.", "본인 명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다.", "재산 압류 통지서가 발송될 예정이다." 등 듣기만 해도 불안하고 다급해지는 내용으로 겁을 줍니다.
  3. 개인정보 요구: 사건 확인, 본인 인증 등을 핑계로 이름, 주민등록번호, 주소, 은행 계좌번호, 비밀번호, 보안카드 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캐묻습니다.
  4. 송금 유도 또는 악성 앱 설치:
    • "사건 해결을 위해 공탁금이 필요하다.", "안전 계좌로 자산을 옮겨야 한다." 라며 특정 계좌로의 송금을 유도합니다.
    • "사건 조회를 위해 필요하다.", "보안 강화 앱이다." 라며 출처 불명의 URL(인터넷 주소)을 보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합니다. (앱 설치 시 휴대폰 내 정보 유출 및 원격 제어 가능!)
  5. 가짜 공무원 연결: "자세한 내용은 담당 검사/수사관에게 연결해주겠다." 라며 다른 사기범에게 전화를 돌려 신뢰도를 높이려고 시도합니다.

 

🚫 절대 속지 마세요! 핵심 예방 수칙

법원/등기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📞 전화로 돈/개인정보 요구 시 무조건 의심!
    • 법원, 검찰, 등기소 등 국가기관은 전화상으로 사건 처리나 조사를 이유로 계좌 비밀번호, 보안카드 번호 등 금융 정보를 요구하거나 특정 계좌로 돈을 송금하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.
  • 🤷‍♀️ 잘 모르는 URL/앱은 절대 클릭/설치 금지!
    • 문자로 받은 출처 불명의 URL 주소는 절대 누르지 말고, 알 수 없는 앱은 절대 설치하지 마세요.
  • ☎️ 직접 확인 필수!
    •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았다면, 일단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 전화번호를 직접 찾아서(114 문의 또는 공식 홈페이지 확인) 전화하여 사실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사기범이 알려준 번호로 다시 전화하면 절대 안 됩니다!
  • 🙅‍♀️ 정보 제공 및 송금 절대 금지!
    • 어떤 상황에서도 전화상으로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알려주거나, 돈을 송금해서는 안 됩니다.
  • 🚨 즉시 신고!
    • 보이스피싱이 의심되거나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경찰(☎️112) 또는 금융감독원(☎️1332)에 신고하세요.

 

✨ 마무리하며

"나에게는 설마 이런 일이?" 라고 방심하는 순간, 누구나 보이스피싱의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. 특히 법원이나 검찰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을 사칭하는 수법은 더욱 교묘하고 불안감을 자극합니다.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당황하지 말고, 알려드린 예방 수칙을 꼭 기억하여 소중한 재산과 정보를 지키시길 바랍니다!

 

다음에도 안전한 생활을 위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! 이슈 탐정🕵️‍♂️ 이었습니다.

반응형